
오늘은 책임감 없는 직원에게
어떻게 일을 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직원의 실력이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특히, 직급 체계를 통해
직원들의 책임감과 동기부여를 높이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직급 체계는 책임감을 높여줘
직원을 관리하는 한 가지 방법은 바로
'직급 체계'를 만드는 것입니다.
많은 경우, 직원이
1년 정도 일하면 매니저로,
2~3년 정도 일하면 점장으로
승진 시키곤 하죠.
그런데, 이렇게 직급을
부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책임감과 기대감을
부여하기 위해서입니다.

직급이 올라가면서
직원은 자연스럽게 그 직급에 맞는
역할과 책임을 느끼게 됩니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역할 기대'라고 부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직원들이 책임감 있게
일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나이에 맞춰 대하는 방법 달라져야
모든 직원이 똑같은 방식으로
동기부여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어떤 직원은 안정적인 직장을 원하지만,
또 다른 직원은 창업을 꿈꾸며
사장님에게 더 많은 노하우를
배우고 싶어할 수 있습니다.
직원의 나이, 성별, 성격, 심리 상태 등을 고려하여
그에 맞는 동기부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로젠탈 효과라고 부르는데,
개인별로 맞춤형 소통과 동기부여를 제공해야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권위의 힘을 활용하라
권위의 힘은 놀라울 만큼
직원들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방송을 탄 맛집은
방송 출연만으로도
손님들의 기대를 모으고,
매출이 급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직급 체계도 마찬가지입니다.
직원들에게 직급을 부여하면
그에 맞는 기대감이 생기고,
더 책임감 있게 일하게 됩니다.
작은 가게일지라도
다양한 직급 체계를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직급은 다소 많아도 괜찮아
가게의 직원 수가 적더라도
최소 6~7개의 직급 체계를
만들 수 있습니다.
직원들이
'다음 직급을 향해 더 열심히 일해야지'
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죠.

직급이 올라갈수록
자기 역할에 대한 책임감이 커지며,
그에 맞는 압박감을 느끼게 됩니다.
직원이 매니저라면,
자신보다 낮은 직급의 직원들보다
더 잘해야 한다는
심리적 압박을 받게 되는 것이죠.

직급 체계가 필요한 이유
직급 체계를 만들면 직원들에게
금전적인 보상 외에도
심리적인 만족감을 줄 수 있습니다.
월급을 올려줄 때
직급도 함께 부여하면
직원들은 더 책임감을 느끼고,
장기적으로 그 직급에 맞는
일을 하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또한, 직급이 높아질수록
더 많은 책임을 지게 되며,
자신이 회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직원에게 책임감을 부여하는 방법
직급 체계를 통해 직원에게
책임감을 부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니저는 알바생과 직원들을 트레이닝하고,
그들의 성장을 책임져야 합니다.
부점장은 매니저가 일을 잘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해야 하죠.
이렇게 각 직급에 맞는 역할을 부여하면,
직원들은 자연스럽게
자신의 직급에 맞는 책임을 다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직급 체계를 활용하여
동기부여와 책임감을 부여하는 것은
직원 관리의 중요한 트릭 중 하나입니다.
그들의 성장을 돕고,
회사 내에서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직급과 역할을 세분화해보세요.
그렇게 하면 직원들은
자연스럽게 더 책임감 있게
일하게 될 것입니다.

